바람의 나라 (뮤지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람의 나라 (뮤지컬)는 김진 작가의 만화 '바람의 나라'를 원작으로 하여 제작된 뮤지컬이다. 2001년 초연 당시에는 호동 왕자와 낙랑공주의 비극적인 사랑을 다루었으며, 이후 2006년부터는 고구려 제3대 왕인 대무신왕(무휼)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었다. 2001년, 2006년, 2007년, 2009년, 2011년, 2014년에 걸쳐 공연되었으며, 각 공연마다 주요 등장인물과 출연진, 그리고 창작진이 달랐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1년 뮤지컬 - 틱, 틱... 붐!
조나단 라슨의 자전적 모놀로그를 바탕으로 데이비드 오번이 3인극 뮤지컬로 재구성한 《틱, 틱... 붐!》은 뮤지컬 작곡가를 꿈꾸는 존이 30세 생일을 앞두고 겪는 갈등을 그린 작품으로, 2021년 린-마누엘 미란다 감독의 영화로도 제작되어 앤드루 가필드가 주연을 맡아 호평을 받았다. - 2001년 뮤지컬 - 로미오와 줄리엣 (2001년 뮤지컬)
제라르 프레스귀르빅이 작곡하고 셰익스피어의 비극을 원작으로 한 프랑스 뮤지컬 《로미오와 줄리엣》은 2001년 프랑스 파리 초연 이후 다양한 버전으로 전 세계에서 공연되었으며, 각 프로덕션은 등장인물, 음악, 의상, 죽음 묘사에서 차이를 보인다. - 만화의 뮤지컬화 작품 - 스파이더맨: 턴 오프 더 다크
《스파이더맨: 턴 오프 더 다크》는 보노와 더 엣지가 음악을 작곡하고 줄리 테이머가 연출한 록 뮤지컬로, 브로드웨이 역사상 가장 기술적으로 정교한 무대 연출과 높은 제작비로 주목받았으나, 엇갈린 평가와 논란 속에 막대한 손실을 기록하며 폐막했지만 흥행에 성공하기도 했다. - 만화의 뮤지컬화 작품 - ROCK MUSICAL BLEACH
ROCK MUSICAL BLEACH는 만화 블리치를 원작으로 한 일본의 록 뮤지컬 시리즈로, 사신편을 시작으로 다양한 에피소드를 무대화하고 오리지널 각본 공연도 제작하며 13만 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하여 인기를 얻고 있다. - 대한민국의 뮤지컬 - 남한산성 (뮤지컬)
뮤지컬 남한산성은 김훈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오달제의 사랑 이야기를 중심으로 각색되었으며, 소설과 달리 최명길과 김상헌의 역할이 축소되고 새로운 여성 캐릭터가 등장하는 차이점을 보인다. - 대한민국의 뮤지컬 - 지하철 1호선 (대한민국의 뮤지컬)
《지하철 1호선》은 1996년 초연 이후 20세기 말 한국 사회상을 배경으로 IMF 외환위기 당시 서울을 배경으로 재구성되어 혁신적인 시도와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각색으로 국내외에서 인정받고 꾸준히 사랑받는 대한민국 대표 뮤지컬이다.
바람의 나라 (뮤지컬) | |
---|---|
바람의 나라 (뮤지컬) | |
![]() | |
장르 | 창작 뮤지컬 |
원작 | 김진의 바람의 나라 |
극본 | 정영 이지혜 |
연출 | 이종훈 김규종 |
작곡 | 박기영 |
안무 | 홍유선 |
음악감독 | 박칼린 |
제작 | 서울예술단 |
공연 정보 | |
초연 | 1995년 |
공연 장소 | 세종문화회관 예술의전당 LG아트센터 국립극장 |
공연 기간 | 1995년 ~ 2024년 |
등장인물 | |
주요 배역 | 무휼 호동왕자 낙랑공주 해명태자 |
음악 | |
주요 넘버 | '사랑가' '칼바람' '나를 막아선 세상' |
수상 | |
수상 내역 | 한국뮤지컬대상 (1996년, 2007년) 더 뮤지컬 어워즈 (2012년) |
2. 원작
2. 1. 만화 '바람의 나라'
김진 작가의 만화 '바람의 나라'는 1992년부터 연재된 장편 서사 만화로, 고구려 초기 역사를 배경으로 한다. 주몽의 아들 유리왕과 그의 아들 대무신왕(무휼), 그리고 무휼의 아들 호동 왕자 3대에 걸친 이야기를 다룬다.[2] 2001년 공연은 호동 왕자와 낙랑공주의 비극적인 사랑을 주제로 자명고라는 부제로 상연되었다.[2] 원작자 김진은 무휼의 인생을 그린 1부, 부여와의 싸움을 그린 2부, 낙랑과의 싸움을 그린 3부작을 기획했는데, 2006년과 2007년 공연은 그 중 1부에 해당한다.[2] 2011년 공연은 3부를 담아낸 것으로 호동에게 초점을 맞추고 부제도 '호동'으로 달았다.[1][2]2. 2. 원작의 주요 내용과 주제
김진의 원작 만화는 호동 왕자와 낙랑공주의 비극적인 사랑[2], 대무신왕(무휼)을 중심으로 한 권력 투쟁과 전쟁 등을 다룬다.[3][4] 원작자 김진은 무휼의 인생을 그린 1부, 부여와의 싸움을 그린 2부, 낙랑과의 싸움을 그린 3부작을 기획했다.[2]3. 뮤지컬의 역사
2001년 공연은 자명고라는 부제 하에 호동 왕자와 낙랑공주를 소재로 비극적인 사랑을 주제로 했다면,[2] 2006년부터는 고구려 제3대 왕인 대무신왕(무휼)을 중심으로 그렸다.[3][4]
원작자로서 초연 때부터 극본 각색과 작사에 참여해왔던 김진은 무휼의 인생을 그린 1부, 부여와의 싸움을 그린 2부, 낙랑과의 싸움을 그린 3부작을 기획했는데 2006년과 2007년 공연은 그 중 1부에 해당한다.[2] 2011년 공연은 3부를 담아낸 것으로[2] 호동에게 초점을 맞추고 부제도 '호동'으로 달았다.[1]
3. 1. 초연 (2001)
2001년 서울예술단에 의해 초연되었으며, 호동 왕자와 낙랑공주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를 다루었다.[2] 원작자 김진은 대무신왕(무휼)의 인생을 그린 1부, 부여와의 싸움을 그린 2부, 낙랑과의 싸움을 그린 3부작을 기획했는데, 2001년 공연은 이 중 낙랑과의 싸움을 그린 3부에 해당한다.[2]3. 2. 재공연 (2006, 2007, 2009)
2001년 공연이 호동 왕자와 낙랑공주의 비극적인 사랑을 주제로 '자명고'라는 부제를 사용했던 것과 달리,[2] 2006년부터는 고구려 제3대 왕인 대무신왕(무휼)을 중심으로 극이 재구성되었다.[3][4] 원작자 김진은 무휼의 일대기를 1부, 부여와의 싸움을 2부, 낙랑과의 싸움을 3부작으로 기획했으며, 2006년과 2007년 공연은 그 중 1부에 해당한다.[2]3. 3. 2011년 공연
2001년 공연은 호동 왕자와 낙랑공주의 비극적인 사랑을 주제로 자명고라는 부제로 진행되었다.[2] 2006년부터는 고구려 제3대 왕인 대무신왕(무휼)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었다.[3][4] 원작자 김진은 무휼의 인생을 그린 1부, 부여와의 싸움을 그린 2부, 낙랑과의 싸움을 그린 3부작을 기획했으며, 2006년과 2007년 공연은 그 중 1부에 해당한다.[2] 2011년 공연은 3부작 중 3부에 해당하며, 호동 왕자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고 부제도 '호동'으로 변경되었다.[1][2]3. 4. 2014년 공연
2006년부터 뮤지컬은 고구려 제3대 왕인 대무신왕(무휼)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었다.[3] 원작자 김진은 무휼의 인생을 그린 1부, 부여와의 싸움을 그린 2부, 낙랑과의 싸움을 그린 3부작을 기획했는데, 2006년과 2007년 공연은 그 중 1부에 해당한다.[2] 2011년 공연은 3부를 담아 호동에게 초점을 맞추었다.[2]4. 등장인물 및 출연진
4. 1. 주요 등장인물
4. 2. 역대 출연진
4. 2. 1. 2001년 - 호동편
- 호동 - 송영두, 안근호
- 대무신왕 - 박철호, 민영기
- 이지 - 고미경, 정유희
- 추발소 - 임철형
- 을두지/고구려대장 - 배성일
- 송옥구 - 금승훈
- 사비 - 박화요비, 김선영
- 최리 - 유희성
- 충 - 박석용
- 운 - 박완규
4. 2. 2. 2006년 - 무휼편
4. 2. 3. 2007년 - 무휼편
2007년 서울예술단이 공연한 바람의 나라 - 무휼편의 배역은 다음과 같다.4. 2. 4. 2009년 - 무휼편
- 무휼 - 고영빈, 금승훈
- 해명 - 홍경수, 양준모, 임병근
- 호동 - 김태훈
- 괴유 - 김산호, 박영수
- 이지 - 도정주, 김은혜
- 연 - 김혜원, 유경아
- 가희 - 여정옥
- 병아리 - 심정완
- 혜압 - 고미경
- 세류 - 김보영
- 배극 - 이종한
- 대소 - 최정수
- 새타니 - 김은혜, 하선진
- 연비 - 박석용
- 마로 - 김백현
- 하얀사녀 - 정유희
4. 2. 5. 2011년 - 호동편
2011년 공연의 배역은 다음과 같다.- 호동 - 임병근, 윤현민
- 사비 - 임혜영, 하선진
- 충 - 이경준
- 운 - 박성환, 박영수
- 최리 - 박석용
- 무휼 - 최정수
- 이지 - 도정주
- 선우 - 김혜원
- 청룡 - 형남희
- 봉황 - 정홍섭
- 사방신 - 금승훈, 고미경, 정유희
4. 2. 6. 2014년 - 무휼편
5. 창작진
정영(2001~2009), 박인선(2011), 김진(2011)이 작사를 맡았다. 작곡/편곡은 이동준(2001), 이시우(2006~2009), 데니악 바르탁(2011)이 담당했다. 대본은 김진이 원작/1차 각색을, 이지나가 2차 각색(2006~2009)을 맡았다. 연출은 김광보(2001), 이지나(2006~), 유희성(2011)이 담당했다. 안무는 안애순(2001~2009), 장은정(2011)이 맡았다. 무대디자인은 오윤균(2001), 이유정(2006~2009), 정승호(2011)가 담당했다. 조명디자인은 김창기(2001), 구윤영(2006~2009), 민경수(2011)가 담당했다. 의상디자인은 황연희(2001), 홍미화(2006~2009), 김영지(2011)가 담당했다. PD는 방원식이다.
5. 1. 역대 창작진
정영(2001~2009), 박인선(2011), 김진(2011)이 작사를 맡았다. 작곡/편곡은 이동준(2001), 이시우(2006~2009), 데니악 바르탁(2011)이 담당했다. 대본은 김진이 원작/1차 각색을, 이지나가 2차 각색(2006~2009)을 맡았다. 연출은 김광보(2001), 이지나(2006~), 유희성(2011)이 담당했다. 안무는 안애순(2001~2009), 장은정(2011)이 맡았다. 무대디자인은 오윤균(2001), 이유정(2006~2009), 정승호(2011)가 담당했다. 조명디자인은 김창기(2001), 구윤영(2006~2009), 민경수(2011)가 담당했다. 의상디자인은 황연희(2001), 홍미화(2006~2009), 김영지(2011)가 담당했다.6. 넘버
7. 평가 및 영향
7. 1. 대중적 인기
7. 2. 비평적 평가
7. 3. 수상 내역
8. 기타
8. 1. 공연 관련 정보
참조
[1]
뉴스
낙랑공주와 호동왕자의 가슴 아픈 사랑
http://www.edaily.co[...]
이데일리
2012-05-30
[2]
간행물
월간 더 뮤지컬
이민선
2011
[3]
뉴스
2001년 예술의전당 「바람의 나라」 공연정보
http://www.sac.or.kr[...]
예술의전당
2008-09-29
[4]
뉴스
2007년 예술의전당「바람의 나라」 공연정보
http://www.sac.or.kr[...]
예술의전당
2008-09-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